9장 활동 및 운동 요구


01 활동과 운동
1. 신체 역학
신체역학의 원리
|
활용 방법
|
기저면이 넓을수록 신체균형 높아짐
|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것이 붙이는것보다 편함
|
무게중심이 낮을수록 신체균형 높아짐
|
앉는것은 서있는것보다 무게 중심이 낮으므로 편함
|
중력선이 기저면의 중심을 지나면 물체는 평형을 유지함
|
대상물에 가능한 한 가깝게 설 것
|
강한 근육군을 사용할수록 근력은 크고 근육의 피로와 손상
을 막음
|
물체를 들어올릴때 둔부와 다리의 근육을 사용하기위해
무릎을 구부리며 허리를 곧게 펼 것
|
굴리는것, 돌리는 것은 들어올리는것보다 적은힘이 듦
|
물체를 들어올리는것을 대신해서 당기거나 밀치거나 회전
할것
|
마찰은 미는것보다 들어올리면 감소 됨
|
• 옮겨야할 대상의 표면적이 클수록 마찰은 커짐
• 부동상태에있거나 수동적인 대상자를 움직일 때 마찰은
더 커짐
|
2. 체위 변경
1) 체위 유지를 위한 기본지침
(1) 해부학적 체위를 위한 기본은 좋은 신체 선열의 유지임
(2) 관절은 약간 굴곡(flexion)시키고 신전(extension)이 오래되지 않도록 함▶ 장시간의 신전은 근육에 불필요한 긴장 초래
(3) 적어도 2시간마다 체위 변경 시킴▶ 한 부위에 장시간·지속적 압박은 욕창 유발
(4) 금기사항이없는 한 매일 운동할것
(5) 체위변경시 가능한한 관절의 가동력을 이용한 최대범위 운동(ROM)을수행
(6) 대퇴의 외회전 예방 : 대전자 두루마리(trochanterroll), 모래주머니 사용
2) 체위의 종류와 목적
앙와위
|
•등을기저면으로하여바로누운자세
• 족저굴곡(footdrop)발생위험있으므로이불로눌리지않게하며족배굴곡(dorsiflexion)시켜줌
|
복위
|
머리를옆으로돌리고엎드려눕는체위로수면과휴식시에취함
|
측위
|
옆으로누운자세
|
좌위
|
똑바로앉는자세
|
반좌위
|
•침상머리부분을45~60°정도올려앉히는자세
•흉곽을최대한확장시켜심장과폐질환자에게유용
•머리를45°상승시킨체위는두개내압상승예방에적용함
|
좌측위
|
•왼편이아래로향하는측위
•무의식이나연하곤란대상자에게적용
|
쇄석위
|
앙와위에서발걸이에발을올려놓고무릎을굴곡시키며진찰대끝에둔부가닿도록하는체위
|
배횡와위
|
다리를약간벌리고무릎을세우고팔은옆에놓거나머리위로굴곡시킨체위
|
슬흉위
|
•가슴을침대에대고무릎을굴곡시켜대퇴가침대에수직이되도록하는체위
•직장검사시사용
|
트렌델렌버그 체위
|
바로누워다리를45°정도높여서다리가어깨보다높게하는체위
|
잭나이프 체위
|
몸전체가잭나이프모양으로만들어지는체위
|
3. 운동의 종류와 원리
1) 근육수축 정도에 따른 분류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
등장성 운동(isotonic exercise)
|
근육의길이는변화없이근육긴장이증가하는운동
▶ 정적인 운동, 근육강화 운동
|
근육의길이가감소하거나증가하는근육의활동이있으면
서운동을하는동안장력이변하지않는수축
|
흔히무산소운동,weight운동
ex사두근과 둔근의 수축, cast환자 근육강화
|
운동속도는상관없이일정한무게의부하로움직이는운동
ex 유산소 운동, 관절가동범위(ROM) 운동, 아령 들기, 팔굽혀
펴기, 수영, 달리기
|
부동대상자의근력유지에유용
|
2)운동주체에 따른 분류
(1) 능동 운동:본인이 스스로 근육의 강도를 유지하는 운동
(2) 수동 운동:운동제공자가 관절 가동범위 운동 실시
(3) 저항 운동:저항에 대항하여 대상자가 시행하는 등 역학 운동
(4) 능동적 보조적 가동범위 운동:대상자가 능동적 운동을 할 수 있는 사지를 이용해 약한 팔·다리의 운동을 지지하는 운동
4. 운동의 효과와 부동의 영향
1) 부동의 영향
(1) 심혈관 기능 : 기립성 저혈압(정맥혈정체와 정맥 귀환량 감소로인해 심박출량 감소하여 저혈압 유발),
심장과부담, 혈전형성
(2) 호흡기능: 환기량 감소, 산-염기불균형, 침강성폐렴
(3) 근골격기능: 근육량상실, 관절경축, 골다공증
(4) 피부손상과 욕창 위험성
(5) 배뇨·배변기능: 요정체, 신결석, 요로감염, 장연동운동의 감소로 인함
2) 부동환자 간호중재
(1) 올바른신체선열을유지:허리와대퇴사이에두루마리를사용하여지지,손에두루마리를쥐어줄것
(2) 심호흡,기침을격려
(3) 잦은체위변경
(4) 하루3회이상ROM운동
(5) 등척성운동
(6) 보행시거리가길수록의자를이용하여대상자가쉴수있도록함
5. 관절가동범위 운동(ROM)
1) ROM 정의
동통을유발하지않고신체각관절에서실시할수있는가능한최대운동범위
2) 관절가동범위 운동 종류
(1) 능동적관절가동범위운동(activeROMexercise):대상자가스스로시행하는ROM운동
(2) 수동적관절가동범위운동(passiveROMexercise):다른사람에의해관절을움직이는운동
3) 관절의 움직임과 관련된 용어
굴곡(flexion)
|
두관절사이의각도를180°이하로감소시키는것으로,구부리는것
|
신전(extension)
|
두관절사이의각도를180°까지증가시키는것으로,펴는것
|
과신전(hyperextension)
|
두관절사이의각도를180°이상과도하게증가시키는것
|
외전(abduction)
|
몸의중심에서멀어지는것
|
내전(adduction)
|
몸의중심에서가까워지는것
|
회전(rotation)
|
중심축을따라옆쪽으로돌리는것
|
외회전(external rotation)
|
몸의중심축으로부터멀리밖으로돌리는것
|
내회전(internal rotation)
|
몸의중심축을향해안으로돌리는것
|
순환(circumduction; 회선)
|
근위부는고정되고원위부가원을그리는운동
|
회내(pronation)
|
손바닥을아래로향해돌리는것
|
회외(supination)
|
손바닥을위로향해돌리는것
|
족저굴곡(plantar flexion)
|
발바닥을향해발을구부리는것
|
족배굴곡(dorsiflexion)
|
발등을향해발을구부리는것
|
내번(inversion)
|
신체중심축을향해발바닥을돌리는것
|
외번(eversion)
|
신체중심축에서멀리발바닥을돌리는것
|
02 보행 및 보행 보조
1. 대상자 보행보조
1) 목발보행
(1) 삼각위치(tripodposition):목발의위치가발에서앞쪽으로15cm,옆으로15cm떨어진곳을이은삼각형
|
4점 보행
(4-point gait)
|
3점 보행
(3-point gait)
|
2점 보행
(2-point gait)
|
그네 보행
(swing to gait)
|
그네통과 보행
(swing-through gait)
|
체중
부하
|
두다리모두
|
한다리에만
|
두다리모두
|
양쪽발모두
체중부하불가능
|
양쪽발모두
체중부하불가능
|
순서
|
오른쪽목발→왼
쪽발→왼쪽목발
→오른쪽발
|
양쪽목발과불편한
발→건강한다리
|
오른쪽목발과왼쪽
발동시에→왼쪽
목발과오른쪽발
동시에
|
양쪽목발모두를
앞으로→목발에
체중을의지하고양
발을들어서목발까
지옮김
|
양쪽목발모두를앞
으로→목발에체중
을의지하고양발을
들어목발을지나앞
으로옮김
|
특징
|
항상3개의지지점
이있어가장안전
|
4점보행보다빠름
|
다리와둔부의마비
를가진대상자에
적용
|
•넘어지기쉬움
• 상지힘과균형감
요구
|
(2) 삼각위치에서대상자의신체선열
(3) 목발로계단오르기
① 건강한다리를먼저위쪽계단에올림
② 그다음목발과약한다리를위쪽계단의건강한다리옆에둠
(4) 목발로계단내려오기
① 건강한다리에체중을의지
② 목발과약한다리를먼저아래계단으로옮기고체중을목발로이동
③ 건강한다리로아래계단의목발까지내려옴
참고 롤라의정보공유방
'기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조무사 및 간호사 국가시험 필수과목 기본간호학 핵심 요약 11. 안전요구 (0) | 2023.01.25 |
---|---|
간호조무사 및 간호사 국가시험 필수과목 기본간호학 핵심 요약 10. 안위요구 (0) | 2023.01.20 |
간호조무사 및 간호사 국가시험 필수과목 기본간호학 핵심 요약 8. 체온유지 (2) | 2023.01.14 |
간호조무사 및 간호사 국가시험 필수과목 기본간호학 핵심 요약 7. 개인위생 (1) | 2023.01.12 |
간호조무사 및 간호사 국가시험 필수과목 기본간호학 핵심 요약 6. 배설요구 (1) | 202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