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증시 섹터 분석

3분기 실적 기대주, 금일 증권사 목표가 매수 리포트 종목, 증권사 추천주 등 한 번에 이해되는 7.6일 특징종목과 이슈

반응형




특징종목
- 코스피 시장 -

한국철강/풍국주정/태경케미컬 : 中 반도체 소재 수출 제한 속 대체재 아르곤 가스 관련주로 부각되며 상승
▷최근 중국이 내달 1일부터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 통제 조치를 시행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아르곤 가스가 대체재로 부각되는 모습. 이와 관련, 정부가 전일 긴급회의를 열어 중국의 갈륨·게르마늄 수출 제한의 영향을 평가하고, 주요 반도체 원료 공급망 다각화를 추진하기로 밝혔으며, 산업부 관계자는 게르마늄 가스에 대해 국내 업체들이 아르곤 가스로 대체해 쓰고 있어 중국 정부의 수출 제한에 큰 지장이 없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아르곤 가스를 제조 및 판매하는 한국철강과 태경케미컬, 자회사 선도산업을 통해 아르곤 가스를 제조 및 판매하는 풍국주정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한국철강, 풍국주정, 태경케미컬

현대위아(011210) : 국내 최초 '대 드론체계' 직접요격 시험 성공 소식 등에 소폭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국내 최초로 '대 드론 체계'(Anti Drone System·ADS) 직접 요격 시험에 성공한 것으로 전해짐. ADS는 군사작전에서 사용되는 드론을 무력화하는 장비로, 동사는 드론의 전파를 방해해 날지 못하게 하는 '소프트 킬'(Soft Kill) 기능에 공중확산탄(ABM)으로 드론을 직접 요격하는 '하드 킬'(Hard Kill) 방식을 추가해 ADS를 개발했으며, 지난 5일 충청북도 사격훈련장에서 ADS 사격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음. 레이더와 광학 장치로 드론을 원거리에서 식별·추적할 수 있도록 했으며, 민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트리머(Streamer) 탄'을 사용하는 ADS도 개발한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빠르게 이동하는 드론을 적기에 격추할 수 있도록 차량형 ADS도 개발하고 있으며, 차량형 ADS를 10월 열리는 국내 최대방위산업 전시회인 ‘서울 ADEX 2023’에서 공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한편, 현대차·기아 호실적 기대감 지속 등에 자동차 대표주 및 자동차부품 테마가 상승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CJ제일제당(097950) : 2분기 실적 부진 전망 및 반등 모멘텀 부재 분석 등에 소폭 하락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7조3,222억원(-2.6% yoy), 3,137억원(-37.8%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식품, 바이오 등 전 사업 부문의 실적 부진으로 컨센서스(매출액: 7조5,367억원, 영업이익: 3,409억원)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식품 원가 부담이 온전히 해소되지 못한 가운데, 제품 가격 인상 및 판매량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제한적인 상황이라며, 중국 리오프닝 효과에 대한 가시성도 낮아 실적 추정치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00,000원 -> 360,000원[하향]

LG생활건강(051900) : 2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소폭 하락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3 연결매출 1조7,796억원(-5% YoY), 영업이익 1,836억원(-15%YoY)으로 기존 추정치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전 사업부 마진율이 이전 분기 흐름과 유사하게 저조했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최근 브라질, 태국의 이상기후, 인도의 설탕 수출 제한 등으로 일부 원부자재(오렌지 농축액, 설탕 등) 가격 급등이 원가 부담을 유지시켰고, 원료 사업 매출이 빠지면서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분석.
▷또한, 화장품을 대신해 생활용품 쪽 공통비용 부담이 증가했고, 제품 & 채널 믹스 개선 효과도 작년보다 더 나아지긴 어려워보인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790,000원 -> 610,000원[하향]

DL이앤씨(375500) : 고용노동부, 동사 전국 시공 현장 일제 감독 실시 소식 및 2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경기 의정부 공사장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지난해 1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후 동사에서는 총 6명이 숨졌고 이에 고용노동부는 동사의 모든 시공 현장에 일제 감독을 실시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사고가 난 현장은 공사 금액이 50억원 이상이어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며, 중대재해처벌법은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원 이상) 사업장에서 근로자 사망 등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사고 예방 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주·경영책임자를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 벌금에 처한다고 알려짐.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804억원(-40.3% YoY)을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주택원가율이 일부 개선되겠으나(-1.3%p QoQ), 1Q23 해외 법인에서의 일회성 이익 효과가 사라지며 전분기 대비 감익을 예상한다고 밝힘.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엠큐브 주식회사와 체결한 3,241.1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32%) 규모 공급계약(다산 지금지구 자족1 지식산업센터 신축공사) 해지 공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전망에 약세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3 매출액 1,718억원(YoY-9%), 영업이익 112억원(YoY-56%, OPM6.5%)으로 영업이익 기준 컨센 대비 16% 하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전방 배터리 고객사들의 동박 구매 수요 둔화는 유지되며, 전분기 대비 판매량(Q) 증가세는 제한적일 것으로 추정. 아울러 수익성은 국내 전력비 추가 인상에 따른 국내 법인 수익성 둔화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한편, 상반기 중국발 신규 증설 동박 공급과잉에 따른 글로벌 업황 부진, 국내 전력비 인상 여파 등으로 실적 부진 전망에 따라 주가가 하락했지만, 3분기부터 개선될 실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0,000원[유지]

GS건설(006360) : 인천 검단 재시공 결정 등에 급락
▷인천 검단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 건설사고조사위원회(조사위)는 전일 사고조사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동사의 부실시공이 주요원인으로 밝혀졌음. 기둥과 슬래브(지붕층)를 연결해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전단보강근(철근)은 구조설계 상 모든 기둥(32개소)에 필요했으나, 15개소가 빠졌고 시공 단계에서도 4개소에서 누락된 것으로 전해졌음. 이에 동사는 아파트 전체를 철거하고 재시공 한다는 방침을 세웠으며, 업계에 따르면, 인천 검단 아파트 재시공 비용이 5,000억원이 추정되는 등 손해가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와 관련,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전면 재시공 결정으로 인해 기 인식된 매출에 대한 회계적 손실 처리, 철거 비용, 지체보상금, 입주민 보상금 등을 포괄하여 충당금을 대규모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철거 비용 및 보상금 규모 등이 아직 명확하지 않아, 당장 충당금 전체 규모를 특정짓긴 어려우나 그 일부나 전부가 2Q23 혹은 3Q23 실적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설명.
▷이어 2022년 1월 광주 화정현장 붕괴사고를 경험했던 HDC현대산업개발은 해당 현장 도급액 2,557억원(사고 전까지 공정률 50% 이상)을 상회하는 3,700억원의 충당금을 인식한 바 있어, GS건설 또한 충당금 규모가 기존 도급액 수준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밝힘. HDC현대산업개발의 유사 사례를 감안한 충당금 1,500억원 및 안전 강화를 위한 비용 증가 등을 반영하여 올해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대비 39% 하향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0,000원 -> 22,000원[하향]

- 코스닥 시장 -

교보14호스팩(456490) : 신규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2,000원을 상회한 2,17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 한편, 동사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로 신재생에너지, 바이오제약(자원)/의료기기, IT융합시스템, 탄소저감에너지, LED 응용, 방송통신융합산업, 게임/모바일산업, 신소재/나노융합, 고부가 식품산업, 전자/통신, 엔터테인먼트/컨텐츠, 소프트웨어/서비스, 기타 미래 성장 동력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산업을 영위하는 업체가 합병대상.

이노시뮬레이션(274400) : 신규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5,000원을 상회한 44,85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 한편, 동사는 스마트 모빌리티를 위한 XR 솔루션 및 시뮬레이터 시스템 공급업체로, 스마트 모빌리티 시뮬레이터, XR 가상훈련, XR 디바이스 및 XR 실감콘텐츠 사업 등을 영위중이며, 국내 최초로 자동차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현대차에 공급하는 등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핵심기술의 내재화를 통해 300여 개의 고객사에 기술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중.

우양(103840) :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급등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예상 매출액은 1,860억원(YoY +13.8%), 영업이익 87억원(YoY +9,058%)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6월부터 동사 고메치즈핫도그의 북미지역 판매량이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 국내 공급가격 대비 15% 높은 가격으로 출하되고 있으며 직수출로 바뀔 경우 수출단가가 추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본격적인 핫도그 판매로 내년까지 높은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펌텍코리아(251970) : 2분기 최대 매출 경신 전망 등에 강세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710억원(YoY+15%), 영업이익 95억원(YoY+25%, 영업이익률 13%)으로 컨센서스를 10%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분기 최대 매출 경신과 처음으로 연결 매출 7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아울러 2023년 실적은 연결 매출 2.7천억원(YoY+15%), 영업이익 340억원(YoY+29%)을 전망. 업황 회복과 함께 고객사 수 확대, 물량 증가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동사는 스킨/색조/선 등의 다양한 카테고리에 사용되는 용기를 선도적으로 개발했고, 인디 브랜드사 중심으로 영업력을 확대했던 만큼 동사의 노력이 2023년 역대 최대 실적으로 결실을 맺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메디톡스(086900) : 메디톡신 등 품목허가 취소 처분 취소 판결에 강세
▷언론에 따르면, 보툴리눔 톡신 제제 '메디톡신' 품목허가 취소 처분 여부를 두고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벌인 소송에서 승소한 것으로 전해짐. 대전지방법원 재판부(판사 최병준·이소민·이호영)는 동사가 식약처가 내린 메디톡신(50·100·150·200단위), 코어톡스(100단위)의 제조·판매 중지 명령과 품목허가 취소 처분을 취소해달라고 제기한 행정소송에서 '처분 취소' 판결을 내렸음.
▷한편, 식약처는 2020년10월 메디톡신 단위별 4개 품목과 코어톡스 등 5개 품목이 국가출하승인을 받지 않고 판매한 사실 등과 관련해 잠정 제조·판매·사용을 중지했으며, 같은 해 11월 해당 제품의 품목허가를 취소한 바 있음.

동운아나텍(094170) : 의료용 시스템반도체 내장 타액 당측정기기 개발 관련 국책과제 선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타액을 이용한 무채혈 비침습 방식의 당뇨센서(스트립) 및 MCU 및 LDO 등이 통합된 시스템반도체가 내장된 미터기 등의 타액 당측정기기 개발 관련 국책과제 선정 공시.
▷이번 국책과제는 신시장 창출을 위한 수요연계 시스템반도체 기술개발사업으로 씨어스테크놀로지, KETI(한국전자기술연구소)와 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 해당 과제는 동사에서 의료용 시스템반도체 개발(일부 반도체 설계영역 KETI와 공동 개발), 동사 반도체를 적용한 타액 당 측정기기(미터기) 개발(개인·병원용 웹기반 어플리케이션, AI 기반 식후 혈당예측 알고리즘 관련 씨어스테크놀로지와 공동 개발) 등을 목적으로 진행된다고 밝힘.
▷총 사업비는 80.99억원이며, 정부출연금은 60억원임.

아우딘퓨쳐스(227610) : 이차전지 전력시스템 설계업체 민맥스 지분 취득 결정에 상승
▷신규사업 추진(이차전지) 목적으로 에너지 저장장치 제조업체 민맥스 주식회사 지분 35.0%(7,070주)를 12.25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예정일:2023-08-31) 공시. 거래 상대방은 엔케이에스인베스트먼트와 갑진임.
▷언론에 따르면, 이번 전략적 지분투자는 갑진 주요 임원이 동사 사내이사로 선임된데 이어 본격적 협업을 위한 것으로, 동사는 민맥스를 시작으로 이차전지 관련 업체를 지속 인수한다는 구상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갑진이 하드웨어라면 민맥스는 소프트웨어 전문 회사”라며, “이차전지 관련 다양한 분야로 확장성과 시너지를 기대한다”고 밝힘.

토비스(051360) : 성장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키움증권은 전일 동사에 대해 카지노 모니터는 고객사 내 점유율 확대 및 유럽 내 카지노 슬롯 머신 보급 확대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힘. 글로벌 1위 고객사 내 점유율 확대가 이어지고 있으며, 글로벌 2위 고객사와도 2H22부터 4년 만의 거래 재개 후 올해 본격적인 점유율 확대 전망.
▷아울러 전장 디스플레이는 3Q23부터 서천 신공장 매출액이 온기로 반영되고, 기존 중국 공장의 가동률 확대에 힘입어 실적 성장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 이어 올해 수익성은 BEP 수준까지 대폭 개선 후 내년부터 본격 이익 기여가 예상된다고 밝힘.
▷이에 올해 매출액은 4,642억원(+41%YoY), 영업이익 311억원(+344%YoY), 2024년 매출액 6,456억원(+39%YoY), 영업이익 546억원(+76%YoY)으로, 사상 최대의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

씨에스베어링(297090) : 종속회사 CS BEARING VIETNAM Co.,Ltd., 100.98억 규모 베트남 법인 추가 설비 투자 속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종속회사 CS BEARING VIETNAM Co.,Ltd., 100.98억원(자기자본대비 11.59%) 규모 베트남 법인 추가 설비 투자 공시. 2024년 고객사의 수요 확대에 따라 생산수량 증가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

라온시큐어(042510) : 공공기관 업무용 아이폰 보안관리 지원 확대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스마트워크 솔루션 ‘원가드(OneGuard)’를 애플 장비 등록 프로그램(DEP)에 연계해 업무용 아이폰을 위한 보안 관리 지원을 확대했다고 밝힘. 원가드는 별도 보안 솔루션 도입 없이 모바일 업무 환경을 만들어주는 통합 모바일 관리 제품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카메라나 스크린샷 통제, 분실 대비 관리, 원격제어 등 다양한 보안과 관리를 일원화된 체계로 제공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이순형 대표는 "국가정보원이 iOS 모바일 단말 보안관리제품의 국가용 보안요구사항을 공개함에 따라 아이폰도 공공기관 업무용으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보고 선제적으로 대응했다"며, "DEP 연계로 아이폰을 업무에 이용하고자 하는 공공기관 및 기업들을 대거 원가드 고객으로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더 많은 고객들이 안전하고 효율적인 스마트워크 환경을 만들기 바란다"고 밝힘.

메드팩토(235980) : 직접비교 어려운 경쟁사 임상 결과에 과도한 하락 분석 등에 소폭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최근 주가 급락은 경쟁사 Agenus의 긍정적 임상 결과가 원인으로 추측되는 가운데, Agenus 임상은 간 전이가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직접적 비교 힘들다고 밝힘.
▷아울러 경쟁사의 임상 결과 발표가 동사의 파이프라인 가치를 저해하는 이벤트가 아니라는 점에서 이번 주가 하락은 시장의 오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HLB이노베이션(024850) : 베리스모 테라퓨틱스 주식 신규 취득 결정 속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지분 취득을 통한 기업가치 극대화 목적으로 바이오의약품 개발업체 VERISMO THERAPEUTICS, INC. 지분 11.75%(3,184,714주)를 130.17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예정일:2023-07-07) 공시.

엘앤에프(06697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하락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3 매출액 1.5조원(+7% QoQ, +69% YoY), 영업이익 676억원(OPM 5%, +67% QoQ, +10% YoY)으로 컨센서스(영업이익 715억원) 대비 소폭 하회하는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이는 에너지 소재 중 양극재의 주요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한 ASP 하락(하락폭 제한적), 구지 2공장 가동 시작으로 인한 초기 가동 비용 발생 등에 기인한다고 분석.
▷다만, 2023년 2분기에 시작된 구지 2공장 Phase 2 양산이 하반기 모두 외형에 반영되고, 세계 최초 90% 이상 단결정 양극재 양산이 2024년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여전히 수주 모멘텀은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50,000원[유지]

엔켐(348370) : 50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신탁 등 대상 50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70,711원, 전환청구일:2024-07-07 ~ 2028-06-07) 공시.

천보(278280) : 2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3 매출액 490억(YoY-25%), 영업이익 23억원(YoY-81%, OPM 4.8%)으로 부진할 것으로 전망. 이는 중국 고객사향 2차전지소재 판매량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
▷다만, 3Q23 매출액 851억(QoQ+74%), 영업이익 85억원(QoQ+262%, OPM10.0%)으로 실적 개선 본격화될 전망이며, 중국 소재 시황 회복과 새만금 신규캐파 가동으로 2차전지소재 중심의 실적 개선 견인을 보일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00,000원[유지]

디딤이앤에프(217620) : 최대주주 변경 속 하한가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주식회사 테라핀으로 변경 공시. 변경후 주식 소유비율은 7.05%(3,652,968주)임. 변경사유는 변경전 최대주주인 WESTPOINT INVESTMENT, LLC.의 지분매각에 따라 2대주주의 비자발적 최대주주 지위 획득임.
▷한편, WESTPOINT INVESTMENT, LLC.는 금일 전자공시를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 제출. 보고자인 WESTPOINT INVESTMENT, LLC.는 동사의 최대주주였으나 시간외대량매매를 통한 지분 매도로 23년 7월 5일 최대주주의 지위를 상실하였으며,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일반주주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있다고 밝힘. WESTPOINT INVESTMENT, LLC.외 5인의 소유비율은 6.60%(3,510,160주)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