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징종목
- 코스피 시장 -
케이비아이동국실업(001620) : 매출 성장 전망 속 강세
▷2023년 사업연도 별도기준 매출액 4,070.00억원, 2024년 사업연도 별도기준 매출액 4,250.00억원, 2025년 사업연도 별도기준 매출액 4,600.00억원, 2025년 사업연도 별도기준 매출액은 4,710억원 전망 공시. 상기 매출액은 23년 시공, 24년 준공 예정인공장증축의 효과가 포함된 전망이라고 밝힘.
에이프로젠(007460) : 면역관문 항암항체 특허 출원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면역관문 항암항체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고 밝힘. 특허 출원한 항체는 류코사이알린 중에서도 분화가 완벽히 되지 않고 암세포로 변성된 면역세포에만 선택적으로 매우 강하게 결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항체를 활용하면 분화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정상 면역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비정상적으로 분화되거나 암세포화된 면역세포들만 공격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현재 이 항체에 자사의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인 침스(CHIMS) 기술을 적용해 T세포 매개 이중항체 면역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며, "T세포 매개 이중항체 항암제는 이중항체가 암세포와 '살해T세포'를 결합시키는 다리 역할을 하게 해 살해T세포로 하여금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죽이도록 고안된 항암제"라고 밝힘.
팜젠사이언스(004720) : 서울대와 AI·빅데이터 활용 개량신약 개발 착수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서울대학교 생명공학공동연구원과 지난 2021년부터 함께 진행한 ‘AI·빅데이타를 활용한 바이오신약 발굴 위탁연구’ 과제를 종료하고, 개량신약(이상지질증 복합제) 1건의 개발에 착수하는 등 성과를 이뤘다고 밝힘. 향후 동사는 이상지질증 개량신약(RD1401) 개발에 대해 비임상을 거쳐 2024년부터 임상에 돌입한다는 계획을 수립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양 기관 간의 진정한 산학협력을 통해 개량신약 과제가 도출되고 개발 착수된 점에서 본 공동연구의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면서, "특히 개량신약 개발에 AI를 적용한 사례가 아직 없기 때문에 현재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증례 방식을 넘어, 빠르고 다양한 고부가가치 개량신약 개발에도 본 연구결과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농심(004370) : 2분기 호실적 전망 및 먹태깡 인기 지속 등에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3E 영업이익은 402억원으로 컨센서스 343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북미 법인은 샘스클럽 전매장 입점 등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가속화되는 국면으로, 미국 법인 고성장 흐름이 지속되며 매출액 두 자리수 성장이 전망된다고 밝힘. 또한, 북미 법인 점유율은 25% 수준으로 라인 증설 및 3공장 건설 계획 등의 성과에 주목할 시기로 판단된다고 밝힘.
▷아울러 국내에서는 별도 기준, 라면/스낵 합산 매출액이 10% 성장할 것으로 전망. 가성비 소비 트렌드로 라면의 견조한 수요가 이어지고 있으며, 신제품 판매 호조(배홍동 쫄쫄면 등)에 따른 매출 확대 및 영업 레버리지 효과로 원가율 개선 흐름이 예상된다고 밝힘. 먹태깡의 판매 호조는 3분기 실적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언급.
▷한편, 언론에 따르면, 먹태깡이 출시 20일만에 170만봉이 넘게 팔리고, 티몬의 10분간만 열린 기획행사 '10분 어택'에서 44초 만에 준비된 물량 230상자가 완판되는 등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음. 이에 동사는 먹태깡 인기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고, 생산량을 40%가량 늘린 것으로 전해짐.
카카오(035720) : 2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소폭 하락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은 2.06조원(+13.2% y-y, +18.5% q-q), 영업이익은 1,130억원(-33.9% y-y, +58.9% q-q)을 기록할 것이라며, 영업이익이 기존 추정치 1,530억원 및 시장 컨센서스 1,283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디스플레이 광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사의 특성상 경기 둔화 국면에 광고 매출 회복이 더디고, 웹툰과 콘텐츠 사업도 성장이 주춤한 상황이라고 언급. 마케팅비용은 1,231억원(-18.1% y-y)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인건비는 AI 및 게임 개발 인력 확충으로 인해 4,551억원(+6.8% y-y)으로 증가했다고 설명.
▷아울러 SM엔터테인먼트 인수에도 불구하고, 광고 경기 둔화와 콘텐츠 사업 부진을 고려해 실적 추정치를 하향 조정하며, 이에 따라 목표주가도 하향한다고 밝힘.
▷한편, 최근 공개한 칼로2.0과 연내 출시할 KoGPT를 통해 카카오톡과 AI를 접목할 예정인 가운데, 대화를 중심으로 하는 카카오톡의 강점을 KoGPT를 활용해 잘 살린다면 정교화된 광고 추천 및 커머스와의 시너지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0,000원 -> 72,000원[하향]
BGF리테일(282330) : 식품 물가 안정화에 따른 모멘텀 둔화 우려 부각 등에 하락
▷삼성증권은 전일 동사에 대해 구조적 성장 스토리는 유효하지만, 모멘텀 둔화 우려가 부상하고 있다고 분석. 최근 라면 가격 인하 등 식품 물가 하향 안정화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인 가운데, 그동안 높은 식품 물가 상승이 동사 기존점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던 만큼, 이후 식품 물가 안정이 동사 성장 모멘텀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 관망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
▷한편, 2Q23E 매출액은 2.09조원(+9% y-y 이하 y-y), 영업이익은 812억원(+1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최근 시장 눈높이가 낮아지고 있으나, 과도하게 우려할 필요 없을 것으로 판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74,000원 -> 218,000원[하향]
하이트진로(000080) : 2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 전망 등에 하락
▷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6,561원(+0.6% YoY), 영업이익은 95억원(-85% YoY, OPM 1.5%)으로 시장 기대치를 큰 폭으로 하회할 것으로 전망. 높은 맥아 원가 부담과 판촉비 증가, 주세 인상 등 때문에 이익 감소폭이 확대됐다고 언급.
▷아울러 주정가 인상으로 인한 연간 원가 부담액은 250~300억원, 주세로 인한 비용 부담은 180억원 내외로 추정하며 이외에도 부자재 및 유틸리티 비용의 증가, 켈리 관련 맥아 구입비용 증가와 판촉비 부담으로 올해 연간 실적 악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8,000원[유지]
- 코스닥 시장 -
센서뷰(321370) : 신규 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4,500원을 상회한 12,7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상승폭을 일부 축소하며 마감. 한편, 동사는 RF 연결 솔루션(RF Connectivity) 업체로, 고주파 영역에서 신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재화된 나노 소재 가공 기술과 정밀 설계 기술, 제조 공정 기술 등에 기반하여 글로벌 표준의 고성능 안테나, 케이블, 커넥터를 전문으로 개발, 제조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마이크로웨이브 케이블(Microwave Cable), 초소형전송선로(Micro-Coaxial Interconnector), 5G 안테나 등이 있음.
제이브이엠(054950) : Amazon Pharmacy에 ATDPS 상업용 사용 시작 분석 등에 급등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북미 지역 핵심 파트너사인 Parata Systems가 BD에 인수되며 북미지역 유통 채널 강화 및 시장 신뢰도가 빠르게 확보되었다며, 그 결과 Amazon Pharmacy에 동사가 제작, 공급한 ATDPS가 상업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Amazon 장비 공급은 시장이 오랫동안 기다려온 이벤트로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이 부과될 것으로 전망.
▷올해 2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411억원(+11%, YoY) 영업이익 82억원(+38.3%)으로 전망. 국내 대비 1.5 ~ 2배 가량 비싸게 판매되는 수출 특성상 영업이익률 개선 효과가 뚜렷해 20%의 고마진 영업이익률 이어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1,000원 -> 45,000원[상향]
케이엔솔(053080) : 소방청, 클린룸 규제 완화 소식 속 클린룸 전문업체로 부각되며 급등
▷전일 소방청은 반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위험물을 사용하는 반도체 제조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을 마련했다고 밝힘. 우선 반도체를 제조하는 '클린룸'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한다며, 클린룸에 적합한 공조설비가 설치된 경우 환기·배출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국제기준에 적합한 소화장치가 내장된 경우 분말 소화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 이어 반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위험물을 사용하는 시설인 '일반취급소'에 대한 규제도 완화한다며, 올 하반기 중 개정절차를 마친 뒤 연내 공포·시행을 목표로 설정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바이오 등 미세 공정 필수 설비인 클린룸 전문업체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국전약품(307750) :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 폐암 치료 후보물질, 美 FDA 치료 목적 승인 소식 속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와 합작사 설립 사실 부각에 급등
▷FDA에 따르면,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의 폐암 치료 후보물질이 치료 목적 승인을 받은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최근 글로벌 바이오 항암주사제 시장 진출 목적으로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와 합작법인(JV)을 설립한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엘앤에프(066970) : 코스피 이전 상장 검토에 급등
▷풍문 또는 보도(엘앤에프, 코스피 이전 상장 준비 관련 보도)에 대한 해명 공시를 통해 코스피 이전 상장을 검토 중이나, 현재 구체적으로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동사의 최대주주인 새로닉스도 급등.
▷한편, 일부 언론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도 국내 한 대형사를 주관사로 선정하고 이전상장을 위한 준비에 돌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시장에서 부각. 다만, 에코프로비엠 측은 "코스피 이전 상장 검토는 시기상조"라며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상장 추진에 먼저 주력하고 있다"고 밝힘.
하이로닉(149980) : 2분기 호실적에 급등
▷23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2.79억원(전년동기대비 +12.68%), 영업이익 19.98억원(전년동기대비 +179.83%), 순이익 15.55억원(전년동기대비 +45.32%).
엔비티(236810) : 카카오톡 단독 고객사 확보 및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 기대감 등에 급등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 6월 국내 초대형 고객사(카카오톡)에 애디슨 오퍼월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카카오톡 앱 실행 후 더보기 -> 혜택쌓기를 클릭하면 나오는 창이 동사가 카카오톡에 단독으로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애디슨 오퍼월이라고 밝힘. 유저들 입장에서 무료로 포인트를 지급받아 카카오톡 쇼핑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고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애디슨 오퍼월 매출액 1위 고객사와 함께 글로벌 시장 진출이 본격화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고객사의 북미 시장 서비스를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일본, 동남아, 유럽 등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고객사의 글로벌 MAU는 작년 기준 약 1억 8천만명이며, 북미를 넘어 글로벌로 서비스를 시작하면 약 3천억원 이상의 매출액 기여가 가능하다고 밝힘.
툴젠(199800) : 미국 바이오회사와 CRISPR 유전자 교정기술 특허 라이선스 부여계약 체결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미국 바이오회사와 CRISPR 유전자 교정기술 특허 라이선스 부여계약 체결(계약기간:2023-07-18~2026-07-18) 공시. 라이선스 요금은 USD 800,000(선급금: USD 300,000, 잔금: USD 500,000(3년간 분할지급))임.
본느(226340) :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강세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연결 실적은 매출액 812억원(+33.8% YoY)과 영업이익 82억원(+369.1% YoY)으로 전망. 실적 성장요인은 미국 중심의 ODM 매출 성장, 터치인솔 및 아토세이프 등 자체 브랜드 판매 증가에 기인한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 1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본격적인 실적 성장 구간에 진입했다고 판단하며 연말까지 분기별로 긍정적인 실적성장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2분기 연결 실적은 매출액 350억원 (+162.0% YoY) 과 영업이익 31억원(흑전 YoY) 전망.
알비더블유(361570) : 매출 성장 전망 속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2023년 사업연도 연결기준 매출액 950억원, 2024년 사업연도 연결기준 매출액 1,150억원, 2025년 사업연도 연결기준 매출액 1,372억원 전망 공시.
나이벡(138610) : 임플란트 핵심 소재 美 FDA 승인 추진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임플란트 필수소재 ‘OssGen-X15’에 대해 FDA 승인을 추진한다고 밝힘. 이를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미국 직진출을 통해 실적 성장을 이뤄낸다는 방침임. 또한, 이번 OssGen-X15에 이어 신제품인 ‘펩티콜 이지그라프트’의 FDA 승인도 계획 중으로, 제품 포트폴리오는 더욱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동사 관계자는 "미국법인을 통해 추가 판매 네트워크를 발굴하고 적극적인 자체 영업활동을 병행해 미국시장에서 큰 폭의 매출 성장을 이루어 나가겠다"라며, "글로벌 1·2위 임플란트 회사들 또한 계속적으로 주력 제품을 미국 시장에 판매할 것이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구축하는 판매 채널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한편, OssGen-X15는 골형성 촉진기능성 펩타이드가 탑재된 바이오 소재로 치과 및 정형외과 분야의 골재생 치료에 주로 사용되고 있음.
지니언스(263860) : Genian NAC 관련 침해 사고 영향 미미 분석 및 실적 지속 성장 전망 등에 강세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 6월7일 Genian NAC 관련 침해 사고로 의심되는 정황이 발생해 투자 심리가 악화되며 주가가 급락하였으나,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사업적 영향 또한 미미할 것으로 예상.
▷아울러 동사의 2023E 매출액은 435억원(+13.1% y-y), 영업이익은 93억원(+34.9% y-y, 영업이익률 21.5%)으로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 이어 국내 1위 표준 솔루션으로 자리잡은 Genian NAC의 안정적인 성장과 더불어 차세대 단말 보안 솔루션으로 떠오르고 있는 EDR 사업 또한 고객사 확대가 지속되며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 중이며, 2025년까지 매년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메지온(140410) : 폰탄치료제 유데나필 2차 임상 3상, 병원 16곳 계약 임박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폰탄치료제 유데나필 2차(FUEL-2) 임상 3상을 위한 병원 16곳과 계약이 임박했다고 전해짐. 이번에 계약이 확정된 16개 임상사이트는 모두 미국 내 병원이며, 동사는 미국, 한국, 일본 등 총 30개 병원에서 폰탄 환자를 모집해 유데나필 2차 임상 3상을 진행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노성일 동사 경영총괄 상무는 “계약이 임박한 16곳 병원 가운데 12곳은 유데나필 1차 임상 3상을 수행했던 곳”이라며 “현재 속도면 7~9월 중 첫 환자 등록과 투약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힘.
퓨런티어(370090) : 자율주행 수혜 기대감 속 올해 양호한 실적 전망 등에 상승
▷유화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실적은 매출액 542억원(+101% YoY), 영업이익 121억원(+656%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자율주행 트랜드에 전장용 카메라는 P와 Q가 동시에 성장하는 추세이며, 고급형 차량에서 보급형 차량까지 자율주행 옵션이 확대되는 중이라고 설명. 아울러 자율주행 Lv1 평균 2개인 전장용 카메라가 Lv3 부터는 차량당 10~12개로 확대 탑재될 전망이며, 단순한 뷰잉 카메라에서 사물을 인식하는 센싱 카메라로 전환되며 P의 상승도 진행중이고, 전장 카메라 확대 트랜드에 따라 카메라 장비업체의 낙수효과가 예상된다고 밝힘.
▷이에 동사의 센싱 카메라 장비는 경쟁사 대비 가장 앞선 기술력을 갖춘 것으로 파악되어 중장기적인 수혜가 전망된다고 언급.
▷한편,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차세대 자율주행 칩 ‘HW 5.0’ 생산을 삼성전자에 맡기는 방안을 사실상 확정했다는 소식도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에스바이오메딕스(304360) :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핵심기술 캐나다 특허 등록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개발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줄기세포로부터 도파민 신경세포 고수율, 대량 생산 분화 유도 방법’에 대한 특허를 캐나다에 등록했다고 밝힘. 해당 기술은 배아줄기세포 또는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분화의 핵심이 되는 신호 전달 4개를 저분자 화합물만을 사용하여 조절함으로써 아주 효과적으로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를 높은 수율로 만드는 기술이며, 마커 LMX1A/B+FOXA2+ 기준으로 약 99% 수율을 보인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김동욱 동사 최고기술책임자 박사는 “본 기술을 포함해 여러 종류의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파생 특허 기술들을 약 42건 출원했다”며 “이들 특허의 해외 등록을 통해 향후 파킨슨병 세포치료제의 글로벌 사업화에 대한 발판을 공고히 하는 중”이라고 밝힘.
바이오플러스(099430) : 비만치료제 시장 진입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글로벌 127조원 규모의 비만치료제 시장에 뛰어든다고 전해짐. HA필러, 유착방지제와 화장품 등으로 쌓아온 뷰티 산업에서의 입지를 비만치료제를 통해 뷰티 관련 바이오의약품으로 넓혀가겠다는 전략이라고 알려짐. 내년에 개발 중인 비만치료제의 전임상을 마치고 글로벌 회사들에 권역별 판권을 넘겨 여러 회사들과 본임상을 함께 진행하려고 계획하고 있으며, 지금도 중동, 유럽, 인도, 독립국가연합(CIS) 등 각 권역별 회사들과 관련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균주나 기술을 통째로 넘기는 형식이 아니라 판권만 넘겨 파트너십을 맺고 함께 개발하자는 취지의 기술이전을 논의 중”이라고 밝힘.
아이엘사이언스(307180) : '충전단자함 구비된 가로등' 특허가치 206억원 평가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태창 특허법률사무소에 의뢰해 '충전단자함이 구비된 가로등' 특허(등록번호 제10-0970158)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 206억원의 가치를 평가 받았다고 밝힘. 이번에 가치평가를 받은 특허는 'EV 충전 가로등 시스템'으로 일반 도로나 주택가 가로등의 상시 전력을 활용하는 완속 충전 방식이며, 태창 특허법률사무소는 글로벌 전기차 충전 시장 전망에 특허 혁신성과 차별성, 기술 사업화 가능성 등을 분석해 '로열티 접근법'을 적용해 평가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해당 평가는 국내 시장만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할 경우, 더 큰 가치 평가가 기대되고 있음.
비트나인(357880) : 관계형 DB '아젠스SQL 엔터프라이즈' 출시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아젠스SQL 엔터프라이즈(AgensSQL Enterprise)’를 출시했다고 밝힘. 이를 통해 관계형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임.
▷동사는 아젠스SQL 엔터프라이즈가 DBMS 시장점유율 1위 제품인 오라클과의 호환성을 지원한다며, 오라클 환경의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마이그레이션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설명.
▷동사 관계자는 "오라클 호환성을 극대화한 아젠스 SQL 엔터프라이즈는 오라클 등 기존 엔터프라이즈 DBMS의 고객층을 그대로 흡수할수 있다는 측면에서 높은 시장성이 기대된다"며, "관계형 DB 제품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며 DBMS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로보스타(090360) : 심현철 카이스트 공동연구팀, 자연어 처리기반 인간형 조종사 로봇 개발 소식에 소폭 상승
▷언론에 따르면, 연구책임자인 심현철 카이스트 교수와 주재걸, 윤국진, 김민준 교수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일반적인 언어로 작성된 조종 매뉴얼을 읽고 이해하는 '자연어 처리기반 인간형 조종사 로봇(휴머노이드 파일럿 ‘파이봇(Pibot)’)을 개발했다고 전해짐. 관련 연구진이 개발 중인 조종사 로봇은 인간 조종사에게는 불가능한 전세계 항공차트(Jeppson Chart)를 전부 기억해 실수 없는 조종이 가능하다고 알려짐. 또한, 최근 큰 이슈가 된 챗GPT 기술을 활용했으며, 연구팀은 조종사 로봇을 실제 경비행기에 적용해 항공기를 직접 조종해 검증할 계획이라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심현철 교수가 사외이사로 근무하고 있는 산업용 로봇 전문업체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필옵틱스(161580) : 318.75억원 규모 필에너지 주식 처분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운전자금확보 및 재무구조개선 목적으로 주식회사 필에너지 주식 937,500주를 318.75억원(자기자본대비 31.44%)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후지분율:53.83%, 처분예정일:2023-07-10) 공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