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아동복지과, 유아교육, 심리학 필수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요약 39.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9

반응형

39.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9

2. 동화


1) 동화에 대한 기초지식


(1) 동화란
- 동화는 영유아를 잠재적 독자로 삼아 만들어진 서사적 성격을 띤 산문형식의 이야기로 영유아가 직접
읽을 수도 있고 교사나 성인이 읽어줄 수도 있음
- 대/소집단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교사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이야기를 들려주는 활동을 의미
(2) 동화 들려주기의 중요성
- 동화를 읽고 들으면서 상상력을 기르고 경험을 넓히며 사고력 및 창의성을 기름
- 동화를 통해 예술적인 심미감을 기르고 언어발달을 촉진


2) 동화 지도시 유의점


(1) 들려줄 때 매체를 다양하게 사용
- 그림동화, 융판동화, 자석동화, 텔레비전동화, 앞치마동화, 막대동화, 손가락동화, 테이블동화 등
(2) 들려주기 전에 순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동화자료 뒷면에 번호를 기록함)
(3) 자료의 높이, 유아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모든 유아가 그림을 잘 볼 수 있는 중앙 위치에서 보여줌
(4) 유아의 반응을 보면서 구연
(5) 그림동화의 경우 교사의 손이 그림을 가리지 않도록 동화의 가장 자리를 잡음
(6) 그림동화의 장면을 바꿀 때는 옆으로 넘김(교사의 얼굴을 가리지 않도록)

- 동화를 넘길 때 그림이 흔들리지 않도록 함
(7) 다 들려준 후에는 유아가 내용을 회상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그림만 다시 한 번 보여줌
(8) 목소리는 너무 과장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표현
(9) 발음은 뚜렷하고 분명하게 표현
(10) 빠르기는 내용에 따라 조절
(11) 목소리의 높낮이를 조절. 예를 들어 괴물이나 큰 동물은 크게 표현하고 작은 동물은 작게 표현
(12) 목소리의 장단·강약을 조절
- 강조하는 부분에서는 크고 길게 표현
(13) 구연이 끝난 후에는 교훈이나 훈계를 하지 않고 유아들이 스스로 감동할 수 있도록 함
(14) 보관할 때 그림동화는 고리 등으로 연결하고 융판동화 등은 지퍼백 등에 내용과 함께 보관


3) 동화 관찰 및 평가 기록의 예


< 동화평가표 >

< 동화전달매체 >

< 동화 들려주기의 운영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