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13
1. 게임
1) 게임에 대한 기초 지식
(1) 게임이란
- 2인 이상이 달성해야 할 목표를 가지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경쟁하는 활동
- 진정한 의미의 게임이 되기 위해서는 상호 의존성(즉 게임의 결과가 내가 어떻게 했느냐 뿐만 아니라
상대가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 상호적으로 결정되는 것), 규칙, 그리고 경쟁(승패에 초점을 둔 것이 아
님)의 요소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함
(2) 게임의 중요성
- 2인 이상이 개별적으로 또는 팀이 되어서 게임을 하는 동안 영유아들은 게임의 방법, 도구, 규칙 등을
생각해 내고, 타인에게 전달하고,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협동해서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경험을 하게 되어 신체, 사회·정서, 언어, 인지 발달이 촉진
2) 게임지도시 유의점
(1) 게임 선정
- 게임은 학급의 연령,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수행해야 할 과제, 장애물, 규칙 등을 고려
- 편게임은 개별적으로 출발하는 편게임에서 시작하여 4세 후반부터는 릴레이 게임도 가능
- 유아의 연령이 어릴수록 자유대형게임과 원대형 게임이 바람직함
(2) 게임의 인원 수 확인
- 편게임을 할 경우 양편의 수를 확인(두 줄로 서보기, 마주보고 앉은 친구와 악수하기 등의 다양한 방법
으로 수세기를 통해 양편의 수를 확인)
- 양편의 수가 다를 경우는 어떻게 할지 유아들과 의논하여 결정
- 단 3세 유아는 수 만큼 의자를 놓아주어 자연스럽게 유아수를 확인하거나 팀을 나누지 않고 교사가
불러주는 유아부터 게임을 할 수 있음
(3) 게임 자료 소개 및 탐색하기
-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게임 자료를 탐색하는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이 자료의 사용방법을 알 수 있음
(4) 게임 방법 및 규칙정하기
- 4, 5세의 경우 게임 자료를 이용하여 어떻게 게임할 수 있을지에 대해 예측 해볼 수 있음
- 교사가 계획한 게임 방법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교사가 상황에 대한 구체적 발문을 통해 유아가 게
임의 방법을 유추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
- 단 3세의 경우는 교사가 게임 방법을 쉽게 이야기해 줄 수 있음
- 게임방법과 규칙이 정해진 후에는 시범을 보여줌으로써 다른 유아들이 게임 방법을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함
(5) 게임하기
- 게임의 시작은 신호악기를 사용할 수 있음(예- “준비, 시작!”하고 북을 칠 수 있음)
- 게임이 진행되는 중간에 게임규칙을 지키지 않거나 게임 방법을 다르게 할 때는 게임을 멈춤
- 그리고 문제에 대해 설명하고, 유아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함
- 이를 통해 유아들은 게임의 결과보다는 게임의 과정을 중요시하는 태도를 기름
(6) 게임의 평가 방법
- 유아들이 승패의 결과에 실망하지 않도록 배려
- 공정한 평가를 위해 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유아들과 함께 정하여 점수를 줌
- “누구에게 점수표시를 붙여 주어야 할까?”하고 물어서 점수표시를 붙임
- “00는 게임규칙을 잘 준수하고 끝까지 잘 돌아왔구나.” 등으로 유아가 게임 활동에서 보여주었던 행동
에 대해 격려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
- 평가 자료는 그림, 실물(밤, 블록 등), 숫자카드를 활용할 수 있음
- 평가를 할 때 결과보다는 유아들이 팀별로 응원을 열심히 하는 모습, 순서를 바르게 기다리는 모습 등
을 격려함으로써 유아들이 게임 활동의 규칙을 잘 지키면서 즐겁게 참여할 수 있음
3) 게임지도 관찰 및 평가 기록의 예
< 게임지도 평가표 >
< 게임의 평가방법 >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복지과, 유아교육, 심리학 필수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요약 46.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15 (1) | 2024.02.22 |
---|---|
아동복지과, 유아교육, 심리학 필수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요약 45.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14 (0) | 2024.02.21 |
아동복지과, 유아교육, 심리학 필수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요약 43.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13 (0) | 2024.02.19 |
아동복지과, 유아교육, 심리학 필수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요약 42.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12 (1) | 2024.02.18 |
아동복지과, 유아교육, 심리학 필수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요약 41.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11 (1)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