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아동복지과, 유아교육, 심리학 필수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요약 47.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16

반응형

47.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16

4. 실험활동


1) 실험활동에 대한 기초 지식


(1) 실험활동이란
- 과학적 지식에 대한 이해, 태도, 기술을 함양시키려는 목적을 가지고 실시하는 과학교육에서의 핵심적인
활동으로 사물이나 환경조건 등의 조작을 통하여 관심 있는 현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는 과정
(2) 실험활동의 중요성
- 오감을 통해 직접 경험함으로써 가장 효율적으로 학습함
- 실험을 통해 추상적인 과학적 개념이나 현상을 오감을 통해 직접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


2) 실험활동 지도 시 유의점


(1) 탐색하기(미리 과학영역에 놓아두기)
- 오감을 이용하여 탐색할 수 있도록 지도
(2) 준비물 및 도구를 탐색
- 도구를 이용하여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해 봄

(3) 실험에 대해 예측.
- 어떻게 실험해 볼 수 있을지 생각해 보기,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에 대해 예측
(4) 실험에 필요한 약속을 정함
- 도구의 사용법과 안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눔
(5) 실험
- 실험재료의 상태와 변화에 대한 탐색을 지속할 수 있도록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며 교사가 발문을 하여
유아의 탐색을 이끌도록 함
- 교사는 과학적 개념을 유아들에게 직접적으로 알려 주기보다는 과학적 오개념을 수정해 갈 수 있도록
자료를 제시
예) 처음과 어떻게 다른가요?/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6) 실험과정을 회상하고 결과를 정리
- 실험을 하면서 궁금한 내용을 책에서 찾아보기, 관찰한 것을 관찰기록지에 그리거나 글로 써보기, 그래
프로 나타내기 등


3) 실험 활동 관찰 및 평가 기록의 예


< 실험활동평가표 >

반응형